네 번째 키워드 밥상물가 잡을 수 있을까. 저희가 금사과 관련 소식은 여러 차례 전해 드렸어요. 그런데 요즘 화두는 김입니다. 김값이 얼마나 올랐길래 이렇게 화두가 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통계청이 지난달 소비자물가 통계자료를 발표했는데요. 2.9%가 올랐다고 하는데 김의 경우는 10%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른 식재료보다 많이 오른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준비된 자료를 한번 보실까요. 대파, 무는 그나마 조금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그런데 김의 경우는 다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배추, 양배추가 내린 건 정부의 대책 덕분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맞습니다. 비축량은 출하하면서 아무래도 가격이 내려갔죠. 김의 경우 한번 보시겠습니다. 김의 경우는 소비자물가 평균의 3배가 올랐습니다, 지난달에만. 소비자물가 평균이 2.9% 올랐는데 김만 놓고 보면 10% 올랐다, 이런 통계 보여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또 다른 자료가 있습니다. 김밥용 김의 평균 도매가격이 한 속이 100장을 말하는데요. <br /> <br /> <br />마른 김 100장 묶어서 파는 거 말씀하시는 거죠? 그게 1만 원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만 원이 넘었습니다. 이러다 보니까 우리 서민들이 점심을 때울 때 김밥을 많이 선호하는데요. 김밥 가격이 꽤 많이 올랐습니다. 제가 오늘 점심을 김밥을 먹었거든요. <br /> <br /> <br />김밥은 대표적인 서민음식인데 얼마나 올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싼 곳이 기본 김밥이 3000원이고요. 대부분 4500원, 4800원대고 최고가는 7300원, 이런 곳도 있었습니다. 사실은 1만 원 넘는 김밥도 있습니다. 그런데 이러니까 김밥도 이제는 만만한 음식이 아닌 거예요. <br /> <br /> <br />서민음식이 아닐 거다라는 생각이 듭니다. 또 김 말고 마늘 가격 오른 것도 화제가 되고 있어요. 마늘은 얼마나 오른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마늘은 지금 작년하고 비교했을 때 재배면적이 준 효과도 있고요. 5% 이상 재배면적이 준 데다가. <br /> <br /> <br />이게 기후의 영향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2~3월에 고온현상 그리고 비가 많이 내리면서 제주도, 전라남도, 경상남도에서 마늘이 주로 재배되는데요. 별마늘이라고 해서 육쪽마늘 기억하시죠. 알맹이가 지금 화면처럼 튼실해야 되는데 아주 작은 그런 마늘들이 있습니다. 별마늘이라고 해서. <br /> <br />상품성이 떨어지는데 아무래도 기상조건이 안 좋다 보니까 이런 마늘이 주로 생산이 되는 겁니다. 그... (중략)<br /><br />YTN 류환홍 (rhyuh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50717112188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